여적

[여적]시노포비아(2020.1.31)

서의동 2020. 1. 31. 21:4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진원지인 중국 우한 경향신문DB

아시아에 대한 유럽인들의 공포는 기원후 5세기 아틸라가 이끈 훈족의 침략에서 비롯됐지만, 유럽이 세계패권을 틀어쥔 근대 이후에는 서양 주도의 국제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이데올로기적 색채를 띠어갔다. 19세기 말 독일 황제 빌헬름 2세가 주창한 ‘황화론(黃禍論)’은 급부상하는 일본을 견제하고, 유럽의 중국 침략을 뒷받침하는 국제정치적 담론이었다. 
 

2차 세계대전 패전의 충격을 딛고 전후 고도성장을 일군 일본이 욱일승천의 기세로 미국 기업을 사들이던 1980년대 황화론은 다시 등장하며 플라자 합의의 불쏘시개 역할을 했다. 1985년 주요 5개국 장관들이 미국 뉴욕 플라자호텔에서 엔화가치를 올리고 달러가치를 떨어뜨리는 데 합의하면서, 일본 경제는 거품처럼 부풀다 꺼져버렸고, 황화론도 다시 잠잠해졌다.
 

황화론은 21세기 들어 중국 공포증, 즉 ‘시노포비아(sinophobia)’에 자리를 내줬다. 아시아 전체에 대한 견제에서 중국에 초점을 맞춘 어휘의 등장은 중국 패권에 대한 서양의 위협감을 대변한다. 서양이 노화하는 동안 굴기한 ‘청년중국’에 대한 시기심도 엿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중국은 일자리를 훔치고, 기술을 빼내기 위해 스파이 짓을 하는 적”이라며 시노포비아를 확산시켰다. 그의 집권 이후 미·중 무역전쟁,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에 대한 규제 등 미·중 갈등은 예고된 수순이었다. 물론 화웨이가 중국 정부의 ‘백도어’(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컴퓨터의 기능이 무단 사용될 수 있도록 설치된 장치) 의혹을 벗지 못하는 등 중국이 빌미를 제공한 측면도 있다. 그러나 “중국이 서양 민주국가를 전복시키고, 미국이 중국의 식민지가 될 것이다” 같은 미국 정가의 담론들 역시 비이성적이다.
 

중국 우한에서 발현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전 세계를 공포에 빠뜨리면서 ‘시노포비아’는 ‘혐중’(嫌中)으로도 의미가 확장됐다. 시진핑 시대의 중국은 서방과 담론·체제 경쟁을 본격화하고 세계 질서를 주도하며 ‘위대한 중화민족의 부흥’을 이루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그 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우선 ‘시노포비아’라는 적을 쓰러뜨려야 한다.